출처:마사회홈페이지
1,[보법]
말의 걸음걸이를 뜻하며 훈련용어로 사용된다.
평보(平步): 천천히 걷는 것. 보통 걸음(예시장에서 말이 걸을때 걸음걸이)
속보(速步): 평보에서 시작해 마체가 풀리면 조금 강도를 올려 빠르게 걷는 것을 말한다.
구보(驅步): 천천히 달리는 것으로 속보보다 한 단계 강한 것이다. 조금 빨리 달리면 강구보라고 한다.
습보(襲步): 실제 경주처럼 전력으로 달리는 것. 습보를 많이 했다면 강하게 훈련시킨 것이므로 실제 경주에서 조교자의 승부 의지를 읽을 수 있다.
2,[다리바꿈]
다리바꿈(답보변환):주행 중에 경주마가 걸음을 주도하는 다리를 반대로 바꾸는 것, 곡선구간 좌구보(좌습보) 직선구간 우구보(우습보)를 사용한다.
3,[반대구보]
진행하는 방향에 맞는 인도지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진행방향에 반대되는 다리를 인도지로 사용하는 구보.
예를 들면 왼쪽으로 회전하는 원운동에 있어서 의도적으로 우측으로 이끄는 구보가 있다. 반대 구보는 잘못된 구보와는 다르다
말이 진행하면서 방향을 전환할 때 왼쪽으로 돌면 왼쪽 다리를 인도지로, 오른쪽으로 돌면 오른쪽 다리를 인도지로 사용해야 하는데 반대구보로 방향전환을 할 때는
위와는 반대로 인도지를 사용한다.
4,[병합조교]
신마나 경쟁의식이 없는 말들에게 시킨다.
경주력이 조금 앞서고 주행 상태가 좋은 말과 나란히 달리게 함으로써 경쟁의식을 높여주고 조교효과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이런 경우 신마는 안쪽에, 노련한 말은 바깥쪽에서 나란히 달리다가 결승주로에서는 노련한 말이 뒤쳐져 달리게 한다.
그렇게 하면 기록이 혼자 달릴 때보다 빨라지는게 보통이다.경주중 도피하려는 버릇이 있는 말의 길을 들일 때도 병합 조교를 시킨다.
그러나 능력 차이가 큰 말과 병합 조교를 시키면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도 있다.
5,[내측사행]
경주 중에 말이 똑바로 달리지 않고 바깥쪽에서 안쪽(경주로 펜스쪽)으로 가로질러 질주하는 일.
6,[외측사행]
경주중에 말이 바깥쪽으로 기울어 비스듬하게 질주하는 것.
(기수가 말머리를 똑바로 하지 못하고 다른 말들의 주행에 방해가 되는 사행을 할 때에는 기승 정지라는 제재가 가해진다.)
7,[악벽]
경주마의 나쁜 버릇
9,[수영훈련]
경주마들의 뭉친 근육을 풀거나 운동기 질환을 치유하고 말의 심페기능,지구력 강화,피로감해소 컨디션 회복 차원에서 실시하고 있다.
10,[착차]
마신:코에서부터 꼬리까지의 말 길이,1마신은 약 8피트(1피트=약 30센티미터)정도, 또한 경주에서 말들간의 거리를 나타낸다.
(마필의 체장(약 2.4미터)을 1마신으로 한다. 부담중량 1kg의 차이는 시간으로 1/3초, 거리로는 약 4.8m(2마신)이다.)
코차:착순에서 경주마들의 착차를 나타내는 가장 작은 단위, 결승선 도착 기준이 선착마의 코끝과 후착마의 코끝 사이의 거리(24cm 이하)
목차: 말의 코끝에서 목까지의 거리(60cm 이하)
머리차: 결승선에 도착한 선착마와 후착마간의 거리차(착차)를 표시하는 단위로 마필의 머리길이(52cm 이하)
1/2마신차:선착마의 코끝과 후착마의 코끝 사이의 거리(1,2m이하)
1마신차: 말의 코끝에서 엉덩이 끝까지 거리( 2.4m이하)
대차(Distance): 큰 차이. 경주에서 결승 도착시 앞서 간 말과의 착차가 10마신 이상일 때를 말한다.
동착: 2두 이상의 말이 결승선상에 동시에 도착하여 착차가 없는 경우를 말한다.
11,[예시장]
경주로 출장 전까지 경마팬들이 출주마의 건강상태, 걸음걸이 등을 관찰해 우승마를 예상하는 데 참고할 수 있도록 말들을 미리 선보이는 장소이다.
12,[윤승]
경주시작에 앞서 말과 기수가 예시장으로부터 발주지점으로 이동할 때 기승기수가 출주마에 기승한 채 정렬하여 관람대를 통과해서 가는것.
우리나라에서는 고객들에게 말 및 기수가 선을 보이는 것이지만, 외국에서는 재결석 앞을 통과시켜 기수 복색착용의 이상 유무 등
경주참가 상태를 확인하는 수단으로 시행되고 있다.
13,[약물검사]
경주마의 능력을 가감시킬 수 있는 약제나 약품 또는 기타 물품의 투여 여부를 밝혀내기 위해 행하는 검사
(실험실은 혈액과 소변 샘플을 가지고 경주 전․후에 금지된 물질을 찾기 위한 약물검사를 실시한다.)
14,[사양관리]
육체적 및 정신적으로 말을 돌보는 기술
인간이 가축을 이용함에 있어서 가축의 특성 및 능력을 최대한도로 발휘케 하기 위해 환경, 영양, 번식, 질병 등의 제반문제를 각 가축의 품종별,
용도별에 맞게 최상의 상태로 관리하는 것을 통칭하는 개념이다.
15,[심의]
순위가 변경될 수 있는 경주는 [심의경주]로 지정·처리
※ 부분 확정 후에는 최종확정 때와 같이 환급금 지급 및 다음경주 마권 발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