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마사회 홈페이지
▷ 식이성 식욕부진(ANOREXIA):식이적인 요인에 기인하는 음식물에 대한 욕구의 상실
▷ 산통:"배앓이"라고 불리는데 마필의 복강 내에서 창자에 이상이 발생됨으로써 통증을 나타내는 복통을 말한다.
▷ 요배통(BACK PAIN):외상등으로 인한 등과 허리의 통증을 총칭하는 용어로서 말에서 흔하지는 않으며 종종 뒷다리 파행 증상이 함께 관찰됨
▷ 감기(COLD):바이러스 혼합세균감염, 알러지 반응 등에 의한 상부기도의 카타르성 질환
▷ 진단서 발급(MEDICAL DOCUMENT ISSUE):말의 진료관련 진단서의 발급
▷ 물리치료(쇽웨이브)(PHYSICAL THERAPY (SHOCK-WAVE)):쇽웨이브 치료기를 사용한 물리치료
▷ 순환기질환 기타(OTHER CIRCULATORY DISEASES):기타의 순환기(심혈관계, 림프계) 질환
▷ 진정(보정)(SEDATION FOR RESTRAIN):말의 보정을 위해 실시하는 진정
▷ 진정(장제)(SEDATION FOR SHOEING):말의 장삭제와 관련하여 실시하는 진정
▷ 정치(FLOATING):수동 또는 자동 정치기구를 이용한 치아 이상마모의 교정
▷ 발치(EXTRACTION OF TOOTH):치아의 골절이나 질환을 치료하기 위하여 문제되는 치아를 뽑아내는 수술
▷ 폐출혈:경주마에서 폐출혈의 정확한 명칭은 "운동기인성 폐출혈(Exercise-induced pulmonary hemorrhage, EIPH)이다.더러브렛 경주마에서는 경주 후에 약 50~70%의 말에서 폐출혈이
발생된다고 알려져 있다.출혈의 정도가 미약한 경우에는 폐 내에서 그치고 내시경 검사로도 확인이 안되지만, 심한 경우는 기관이나 콧구멍으로 혈액이 흘러나오게 된다.
따라서 기관 내 또는 콧구멍으로 혈액이 흘러나오는 것이 확인된 경우는 출혈이 심하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콧구멍 내에서 외상이나 다른 원인에 의해 흘러나온 혈액(비출혈)과 폐에서 흘러 나오는 혈액(폐출혈)은 사람 눈에는 똑같이 콧구멍으로 나오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구별이 필요한데 이 때는 내시경 검사로 가능하며 운동 후 늦어도 2시간 이내에 검사해야 확인이 가능하다.
▷ 굴건염:굴건은 말이 달릴 때 몸통을 앞으로 추진시키기 위해 다리를 구부리면서 근육을 수축시킬 때 작용하는 힘줄이다.
이 굴건은 실오라기 같은 가느다란 건섬유가 모여서 만들어진 다발의 형태를 띠고 고무줄처럼 탄력성이 뛰어나 경주마가 달릴 때 늘어났다 줄어들었다를 반복하면서
다리를 구부리는 역할을 하므로(屈腱, Flexor tendon)"이라 부르며 네다리에 모두 가지고 있다.
이와는 반대로 다리를 펴는 작용에 관여하는 힘줄을 신건(伸腱, Extensor tendon)이라고 부른다.
경주마는 매 걸음마다 다리에 체중부하가 걸리고 대부분은 굴건이 견디어 내지만 그 정도가 지나쳐서 건섬유가 끊어지거나 늘어나는 등의 질병이 발생되기 쉽다.
굴건에 질병이 발생되어 염증이 생긴 것을 굴건염(屈腱炎, Flexor tendinitis)이라고 부르며 붓고 열이 나며 아파하며 절게 되는 중요한 다리질병의 하나이다.
피부에서부터 얕은 층에 위치한 굴건을 천지굴건(淺指屈腱),그 보다 더 깊은 층의 것을 심지굴건(深指屈腱)이라고 부르는데 천지굴건에 질병이 발생되는 경우가 더 많다.
따라서 굴건에 질병이 생기면 운동 능력에 절대적으로 심각한 영향을 미치며 심한 경우 퇴역할 수 밖에 없으며 한번 발생되면 재발(再發)하기 쉽다.
▷ 제구염:경주마에서 ‘제구염’이란 발굽의 뒷쪽에 있는 제구라고 부르는 부위에 외상이나 기타 원인에 의해 염증이 생기는 질병을 말한다.
제구(蹄球)는 네다리의 발굽 뒤꿈치에 안쪽과 바깥쪽에 둥그스름하게 돌출된 부위를 말하는데 그 내부에는 발굽의 형태를 유지시키고 달릴 때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연골(軟骨)이 들어있다.
이 연골을 제연골(蹄軟骨)이라고 부르며 제3지골(일명 제골)과 붙어 있는 물렁뼈로서 경주마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각 다리의 제구는 몸통의 안쪽에 있는 것을 『내측제구』, 바깥쪽의 것을『외측제구』라고 한다.
▷ 우전지교돌상(SPEEDY CUT OF RIGHT FORELIMB):반대쪽 다리에 부딪혀서 발생한 외상으로 주로 구절부에 발생함
▷ 우후지교돌상(SPEEDY CUT OR RIGHT HINDLIMB):반대쪽 다리에 부딪혀서 생긴 외상으로 주로 구절부에 발생함
▷ 우각막찰과상(R. CORNEAL ABRASION):오른쪽 눈의 각막이 마찰에 의하여 찢어진 창상
▷우전지파행(RF. LAMENESS):오른쪽 앞다리의 비정상적인 보행(다리 절음)의 총칭
▷ 우후지파행(RH. LAMENESS):오른쪽 뒷다리의 비정상적인 보행(다리 절음)의 총칭
▷ 우전제구염(RF. BULB INFLAMMATION):우측 앞다리 발굽의 뒷쪽에 있는 제구 부위에 외상이나 기타 원인에 의해 염증이 생기는 것임
▷ 우후계부찰과상(ABRASION OF RH. PASTERN):비 정상적인 기계적 마찰에 의하여 오른쪽 뒷다리 발목 부위 피부의 표면에 입는 외상
▷ 우전구절염좌(SPRAIN OF RF. FETLOCK JOINT):과도한 신장에 의한 오른쪽 앞다리 구절의 가벼운 손상
▷ 우전구절염(RF FETLOCK JOINT DISEASE):오른쪽 앞다리 구절의 관절염
▷ 우후지 부종(RH. LIMB EDEMA):운동전후 오른쪽 뒷다리 단순한 부종
▷ 우완관절염(R. CARPAL JOINT DISEASE):오른쪽 앞다리 완관절의 관절염
▷ 우후 구절부 찰과상(ABRASION OF RH. FETLOCK):비 정상적인 기계적 마찰에 의하여 오른쪽 뒷다리 구절 부위 피부의 표면에 입는 외상
▷ 우중수부찰과상(ABRASION OF R. METACARPUS):비 정상적인 기계적 마찰에 의하여 오른쪽 앞다리 중수부 부위 피부의 표면에 입는 외상
▷ 우중족부찰과상(ABRASION OF R. METATARSUS):비 정상적인 기계적 마찰에 의하여 오른쪽 뒷다리 중족부 부위 피부의 표면에 입는 외상
▷ 우전구절찰과상(ABRASION OF RF. FETLOCK):비 정상적인 기계적 마찰에 의하여 오른쪽 앞다리 구절 부위 피부의 표면에 입는 외상
▷ 우전의동(RF. SEEDY TOE):우측 앞다리 발끝부위에서 발굽벽이 백선(발굽바닥의 하얀 테두리)과 분리되어 발굽벽과 감각제엽(감각을 가지는 발굽벽 내측 조직)이
분리되는 것을 말하며,부실한 발굽관리가 원인이 됨
▷ 우제3중수골골막염(PERIOSTITIS & FRATURE OF THE DORSAL METACARPUS):오른쪽 앞다리 제3중수골 배측면에 압박이 가해지거나 외상의 결과로 골막하출혈 및
미세골절 나타남으로써 보이는 증상
▷ 좌전지교돌상(SPEEDY CUT OF LEFT FORELIMB):반대쪽 다리에 부딪혀서 생긴 외상으로 주로 구절부에 발생함
▷ 좌각막찰과상(L. CORNEAL ABRASION):왼쪽 눈의 각막이 마찰에 의하여 찢어진 창상
▷ 좌후지교돌상(SPEEDY CUT OF LEFT HINDLIMB):반대쪽 다리에 부딪혀서 생긴 외상으로 주로 구절부에 발생함
▷ 좌전구절찰과상(ABRASION OF LF. FETLOCK):비 정상적인 기계적 마찰에 의하여 왼쪽 앞다리 구절 부위 피부의 표면에 입는 외상
▷ 좌후 구절부 찰과상(ABRASION OF LH. FETLOCK):비 정상적인 기계적 마찰에 의하여 왼쪽 뒷다리 구절 부위 피부의 표면에 입는 외상
▷ 좌전지 근육통(MUSCLE PAIN OF LF. LIMB):왼쪽 앞다리 근육의 통증
▷ 좌전지 부종(LF. LIMB EDEMA):운동전후 왼쪽 앞다리 단순한 부종
▷ 좌전지파행(LF. LAMENESS):왼쪽 앞다리의 비정상적인 보행(다리 절음)의 총칭
▷ 좌전완부 찰과상(ABRASION OF L. FOREARM):비 정상적인 기계적 마찰에 의하여 왼쪽 앞다리 전완 부위 피부의 표면에 입는 외상
▷ 좌중수부 찰과상(ABRASION OF L. METACARPUS):비 정상적인 기계적 마찰에 의하여 왼쪽 앞다리 중수부 부위 피부의 표면에 입는 외상
▷ 좌둔부혈종(HEMATOMA OF L. HIP):혈관벽의 파손이 원인이 되어 왼쪽 둔부 부위에 존재하는 기관, 공간 혹은 조직에서의 혈병으로 된 혈액의 국소적 집합
▷ 좌후 발목피부염(계군)(PASTERN DERMATITIS(= SCRATCHES,GREASE HEEL,MUD FEVER,CRACKED HEEL)):좌후지 발목 및 발굽 뒷꿈치 부위의 가피성 지루성 피부염
▷ 좌전구절염좌(SPRAIN OF LF. FETLOCK JOINT):과도한 신장에 의한 왼쪽 앞다리 구절의 가벼운 손상
▷ 좌중족부찰과상(ABRASION OF L. METATARSUS):비 정상적인 기계적 마찰에 의하여 왼쪽 뒷다리 중족부 부위 피부의 표면에 입는 외상
▷ 좌완완관절 퇴행성관절염(DJD OF L. INTERCARPAL JOINT):요완골과 중간완골의 원위관절면과 제3완골,제2완골 및 제3완골 근위관절면의 퇴행성변화가 동반된 완완관절염
▷ 좌전제저타박상(LF. BRUISED SOLE):좌측 앞다리의 제저부 내 타박에 기인한 급성적인 발굽의 염증으로 편평한 발굽에서 잘 나타 남
▷ 좌후답창(LH. PUNCTURED WOUND OF THE FOOT):못 등을 밟아서 발생한 좌측 뒷다리 발굽의 상처 및 염증
▷ 좌후계부찰과상(ABRASION OF LH. PASTERN):비 정상적인 기계적 마찰에 의하여 왼쪽 뒷다리 발목 부위 피부의 표면에 입는 외상
▷ 좌하퇴부 좌창(CONTUSED WOUND OF L. GASKIN):강한 타박에 의한 왼쪽 뒷다리 정강이 부위 피부 및 연부조직의 개방성 손상
▷ 좌제3중수골골막염(PERIOSTITIS & FRATURE OF THE DORSAL METACARPUS):왼쪽 앞다리 제3중수골 배측면에 압박이 가해지거나 외상의 결과로 골막하출혈 및
▷ 양각막염(B. KERATITIS):양쪽 눈의 각막에 발생하는 염증으로 경주마의 경우 주로의 모래가 튀어올라 눈에 맞음으로써 잘 발생하며 조교나 주로직후 각막세척과 치료를 적절히 하지 않으면
악화되기 쉽고, 간혹 채찍 등으로 인한 외상, 안구사상충 등의 기생충이나 화학물질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음
▷ 양후지 근육통(MUSCLE PAIN OF BH. LIMBS):양쪽 뒷다리 근육의 통증
▷ 양후지교돌상(SPEEDY CUT OF BOTH HINDLIMB):반대쪽 다리에 부딪혀서 생긴 외상으로 주로 구절부에 발생함
▷ 양후지 부종(BH. LIMB EDEMA):운동전후 양쪽 뒷다리 단순한 부종
▷ 양완관절염(B. CARPAL JOINT DISEASE):양쪽 앞다리 완관절염
▷ 양전구절염(BF FETLOCK JOINT DISEASE):양쪽 앞다리 구절에 발생한 관절염
▷ 양전지 근육통(MUSCLE PAIN OF BF. LIMBS):양쪽 앞다리 근육의 통증
▷ 양전지파행(BF. LAMENESS):양쪽 앞다리의 비정상적인 보행(다리 절음)의 총칭
▷ 양요완골골연골증(OSTEOCHONDROSIS OF B. RADIAL CARPAL BONE):양 요완골에 발생한 골연골증
▷ 양후 발목피부염(계군)(PASTERN DERMATITIS(= SCRATCHES,GREASE HEEL,MUD FEVER,CRACKED HEEL)):양후지 발목 및 발굽 뒷꿈치 부위의 가피성 지루성 피부염
▷ 양후 구절부 찰과상(ABRASION OF BOTH HINDLIMB FETLOCK):비 정상적인 기계적 마찰에 의하여 앙쪽 뒷다리 구절 부위 피부의 표면에 입는 외상
▷ 양제3중수골골막염(PERIOSTITIS & FRATURE OF THE DORSAL METACARPUS):중수골배측면에 압박이 가해지거나 외상의 결과로 골막하출혈 및 미세골절 나타남으로써 보이는 증상
▷ 양전구절 퇴행성관절염(DJD OF BF. FETLOCK):양쪽 앞다리 구절의 퇴행성변화를 동반한 관절염
▷ 양요골원위단골연골종(OSTEOCHONDROMA FORMATION OF THE DISTAL RADIUS):요골골간 및 골간단에 골연골종이 발생하는 것으로 유전적 다발성 외골증과는 달리 단일병소를 갖거나
몇몇 장골에서만 나타남
▷ 구내염(STOMATITIS):Rhodococcus나 Pseudomonas 감염성, 바이러스성, 진균성 구내염이 있음
▷ 마비성근색소뇨증(EXERCISE RELATED MYOPATHY(PARALYTIC MYOGLOBULINURIA, MONDAY MORNING SI):월요병 이라고도 불리며 근육(횡문근)이 손상되어 마비가 나타나는
근육질병 중의 하나로서,이름에서도 알수 있듯이 근육속에 함유되어 있는 근색소(마이오글로빈)의 일부가 오줌을 통해 몸 밖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쵸콜릿 색깔의 소변을 배설하고,온몸이 마비되어 뻣뻣하게 서있거나 심한 경우 드러누워 일어나지 못하는 증상을 나타냄.
▷ 술후처치(POSTOPERATIVE CARE):수술 끝난 다음부터 치유과정동안 행해지는 치료 또는 처치
▷ 림프관염(임파관염)(LYMPHANGEITIS):림프관의 염증, 급성 림프관염은 림프관계에 세균감염의 파급에 의하여 발생하며, 림프관의 경로에 따라 피하에
붉은 동통성 선조(線條)가 나타남.
▷ 침치료(신침)(ACUPUCTURE(MANNUAL)):신침(혈자리에 침을 적용하는 시술로, 일반적인 침술에 해당)을 이용한 침치료
▷ 진드기성외이염(PSOROPTIC OTITIS EXTERNA):Psoroptes cuniculi가 이관에 침범함으로써 머리를 흔들거나 귀를 문지르는 증상을 보임
▷ 마체검사(PHYSICAL EXAMINATION):마필의 체형이나 외모심사, 경주관련 운동기질환 등의 확인을 위한 임상검사와 진단과정을 말함.
특이사항이나 진단내용이 있을 경우에는 해당 진단명이 사용되므로 검사결과 다른 특이사항이 없는 경우에 이 명칭을 사용할